지금까지 Android의 기본적인 상태 저장에서부터 SavedStateHandle를 사용한 상태 저장에 대해서 몇 가지의 글을 작성했습니다. 그리고, SavedStateHandle를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AndroidX 내부의 움직임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iewModel 객체가 생성되는 순간에서 제거되는 순간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ViewModel 에 대해서 총 5개의 글을 소개합니다.
전제 조건
// app build.gradle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androidx.activity:activity-ktx:1.1.0'
def lifecycle_version = "2.2.0"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extensions:$lifecycle_version"
implementation "androidx.lifecycle:lifecycle-viewmodel-ktx:$lifecycle_version"
}
ViewModel 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ViewModel 요청이 가장 첫 시작 포인트일 것입니다.
ViewModel 요청은 아래 코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ViewModelProvider 을 사용해서 객체를 요청합니다.
// 패턴1. 기본적인 ViewModelProvider를 사용하여 객체 요청
counterViewModel = ViewModelProvider(this).get(CounterViewModel::class.java)
// 패턴2. ktx
val counterViewModel: CounterViewModel by viewModels()
그리고 패턴2의 ktx를 사용한 방법은 lifecycle-viewmodel-ktx
에 있는 Lazy를 사용한 방법입니다. 이 방법 또한 실제로 패턴1과 동일한 ViewModelProvider를 사용하여 객체 요청합니다.
패턴 2에서 사용하는 Kotlin 코드는 다음 클래스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ctivity-ktx : ActivityViewModelLazy.kt ◀◀◀ activity에서
by viewModels()
사용시 호출되는 코드- fragment-ktx : FragmentViewModelLazy.kt ◀◀◀ fragment에서
by viewModels()
사용시 호출되는 코드- lifecycle-viewmodel-ktx : ViewModelProvider.kt ◀◀◀ ActivityViewModelLazy / FragmentViewModelLaz 에서 호출하는 Lazy 코드의 실체
ViewModel 사용 시 요청하는 곳이 ViewModelProvider 이라는 것을 이미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다루었지만, 다시한번 ViewModelProvider 의 생성자를 확인해보겠습니다.
class ViewModelProvider {
public ViewModelProvider(@NonNull ViewModelStoreOwner owner) { // 생성자 패턴 1
this(owner.getViewModelStore(), owner instanceof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 ((Has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owner).getDefaultViewModelProviderFactory()
: NewInstanceFactory.getInstance());
}
public ViewModelProvider(@NonNull ViewModelStoreOwner owner, @NonNull Factory factory) { // 생성자 패턴 2
this(owner.getViewModelStore(), factory);
}
public ViewModelProvider(@NonNull ViewModelStore store, @NonNull Factory factory) { // 생성자 패턴 3
mFactory = factory;
mViewModelStore = store;
}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viewmodel/src/main/java/androidx/lifecycle/ViewModelProvider.java?q=ViewModelProvider
생성자 패턴1의 경우 ViewModelStoreOwner 타입을 전달받고 있습니다. 기존 Activity에서는 ViewModelStoreOwner를 전달된 코드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counterViewModel = ViewModelProvider(this).get(CounterViewModel::class.java)
이때 확인해야 할 사항은 ViewModelStoreOwner 는 인터페이스라는 점입니다. 그리고, ViewModelStoreOwne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 중에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클래스는 아래의 2 클래스가 주요 클래스입니다.
또한 ComponentActivity, Fragment를 상속하는 클래스도 ViewModelStoreOwner 인터페이스의 성격을 가집니다.
실제로 ViewModelProvider#get(String, Class<T>) 함수를 이용해서 ViewModel 인스턴스를 가져오는 처리를 실행합니다. ViewModelProvider에 존재하는 2개의 get함수 중 key 와 modelCalss 를 파라매터로 받는 함수가 메인 함수입니다.
class ViewModelProvider {
...
@NonNull
@MainThread
public <T extends ViewModel> T get(@NonNull String key, @NonNull Class<T> modelClass) {
ViewModel viewModel = mViewModelStore.get(key);
if (modelClass.isInstance(viewModel)) {
if (mFactory instanceof OnRequeryFactory) {
((OnRequeryFactory) mFactory).onRequery(viewModel);
}
return (T) viewModel;
} else {
...
}
if (mFactory instanceof KeyedFactory) {
viewModel = ((KeyedFactory) (mFactory)).create(key, modelClass);
} else {
viewModel = (mFactory).create(modelClass);
}
mViewModelStore.put(key, viewModel);
return (T) viewModel;
}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viewmodel/src/main/java/androidx/lifecycle/ViewModelProvider.java;l=170?q=ViewModelProvider
ViewModelProvider#get(String, Class<T>) 내부의 처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3번 항목을 통해서 우리가 알아낸 사실은 이름대로 ViewModelProvider 또한 Provider(제공자) 역할을 하는 클래스라는 것입니다. ViewModelProvider 가 호출하는 실제 ViewModel 인스턴스 생성을 담당은 ViewModelProvider.Factory 입니다.
ViewModelStore는 ViewModel을 임시 저장하는 Store 클래스입니다. 내부 구현과 자세한 움직임은 이후에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ViewModelProvider {
public interface Factory {
@NonNull
<T extends ViewModel> T create(@NonNull Class<T> modelClass);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viewmodel/src/main/java/androidx/lifecycle/ViewModelProvider.java;l=41?q=ViewModelProvider
ViewModelProvider.Factory 은 새로운 ViewModel 인스턴스를 만드는 역할을 정의한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인터페이스에는 ViewModelProvider.Factory#create(Class<T>) 메소드만 정의되어 있으며, modelClass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은 후 ViewModel 인스턴스를 반환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AndroidX에 정의된 ViewModelProvider.Factory 의 구현 클래스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ViewModelProvider.Factory
이것으로 ViewModel 생성 시에 중요한 키 역할을 하는 것은 ViewModelProvider.Factory 인터페이스의 구현 클래스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ViewModel은 언제 사라지는가에 대해서 생각해보신적 있으신가요? ViewModel의 소유자(Owner)의 생명주기가 완료되면 리소스 정리를 위해서 ViewModel#onCleared() 가 호출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developer.android.com/topic/libraries/architecture/viewmodel
이후에서는 ViewModel#onCleared() 을 호출하는 요소, 즉 ViewModel을 Death에 관련된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ViewModel 탄생에서 생략한 ViewModelStore를 살펴봅니다.
ViewModelStore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ViewModel을 저장하는 클래스입니다.
또한, ViewModel#clear
를 호출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호출시 우리가 알고 있는 ViewModel#onCleared() 을 호출합니다. 다만 ViewModel#clear
함수는 public은 아닙니다. 오직 AndroidX 내부에서 호출되기 위해서 만들어졌으며 프레임워크에서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public class ViewModelStore {
private final HashMap<String, ViewModel> mMap = new HashMap<>();
final void put(String key, ViewModel viewModel) {
ViewModel oldViewModel = mMap.put(key, viewModel);
if (oldViewModel != null) {
oldViewModel.onCleared(); // ◀◀◀ ViewModel#onCleared() 호출
}
}
...
public final void clear() {
for (ViewModel vm : mMap.values()) {
vm.clear(); // ◀◀◀ ViewModel#clear() 내부에서 ViewModel#onCleared() 호출
}
mMap.clear();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viewmodel/src/main/java/androidx/lifecycle/ViewModelStore.java
ViewModelStore는 ViewModel의 소유자(Owner)가 인스턴스 형태로 가지고 있으며, 생명주기가 종료시에 ViewModelStore#clear()를 호출하여 ViewModel이 종료되도록 동작합니다. 또한, ViewModelStore#put(String, ViewModel)
할 경우에도 이미 Store 내부에 오래된 ViewModel 존재하는 경우 ViewModel#onCleared() 을 명시적으로 호출합니다.
지금까지 ViewModelStore가 ViewModel을 저장하는 클래스이며, 종료를 담당하는 클래스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이제 ViewModelStore#clear() 를 호출하는 곳을 살펴보겠습니다.
ViewModel의 소유자(=ViewModelStoreOwner)는 ComponentActivity/Fragment라는 것을 이전에 설명했습니다. 그중 첫 번째는 ComponentActivity의 생성자에서 생명주기가 Lifecycle.Event.ON_DESTORY일 경우, 즉 Activity가 종료되는 경우에 ViewModelStore#clear() 를 호출합니다.
public class ComponentActivity ... {
public ComponentActivity() {
...
getLifecycle().addObserver(new LifecycleEventObserver() {
@Override
public void onStateChanged(@NonNull LifecycleOwner source,
@NonNull Lifecycle.Event event) {
if (event == Lifecycle.Event.ON_DESTROY) {
if (!isChangingConfigurations()) {
getViewModelStore().clear(); // ◀◀◀ ViewModelStore#clear() 호출
}
}
}
});
...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activity/activity/src/main/java/androidx/activity/ComponentActivity.java;l=247?q=ComponentActivity
ViewModel의 또 다른 소유자(=ViewModelStoreOwner) 중 하나인 Fragment와 관련된 흐름은 ComponentActivity보다 조금 복잡합니다. Fragment가 Activity/Fragment에서 detach되어 종료된 경우에 호출이 됩니다.
final class FragmentManagerViewModel extends ViewModel {
...
void clearNonConfigState(@NonNull Fragment f) {
...
// Clear and remove the Fragment's ViewModelStore
ViewModelStore viewModelStore = mViewModelStores.get(f.mWho);
if (viewModelStore != null) {
viewModelStore.clear();
mViewModelStores.remove(f.mWho);
}
}
...
}
소스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fragment/fragment/src/main/java/androidx/fragment/app/FragmentManagerViewModel.java;l=193?q=FragmentManagerViewModel
지금까지 AndroidX 내부 코드를 토대로 ViewModel의 탄생에서부터 죽음까지를 살펴봤습니다. 여러분들이 알고 있던 함수가 주요 키포인트였으며 단편적이지만 그 주변 로직들과 연관 지어 설명을 했습니다.
ViewModel 생성의 경우 지금까지의 글에서도 언급되었기에 쉽게 떠올리셨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으로 ViewModel과 상태 저장에 대한 5부작 글을 마칩니다.
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ViewModel 에 대해서 총 5개의 글을 소개합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
Subscribe to this blog via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