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Lifecycle-ktx 1부에서는 whenStateAtLeast와 withStateAtLeast의 개념과 동작 방식을 살펴봤습니다. 2부에서는 각 기능의 내부 구현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시작 전 1부에서 살펴본 whenStateAtLeast KTX의 설명을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이 내용을 기억하며 내부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suspend fun <T> Lifecycle.whenStateAtLeast(
minState: Lifecycle.State,
block: suspend CoroutineScope.() -> T
): T = withContext(Dispatchers.Main.immediate) {
val job = coroutineContext[Job] ?: error("when[State] methods should have a parent job")
val dispatcher = PausingDispatcher()
val controller =
LifecycleController(this@whenStateAtLeast, minState, dispatcher.dispatchQueue, job)
try {
withContext(dispatcher, block)
} finally {
controller.finish()
}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PausingDispatcher.kt
whenStateAtLeast의 주요 특징으로 블록을 일시 중단
한다는 언급을 했습니다. 파라미터 중 block 이란 이름으로 정의된 syntax를 보면 suspend
function입니다. 기본 API만 보더라도 일시 중단이 가능하다는 것을 노출하고 있습니다.
whenStateAtLeast 함수에서 살펴볼 클래스는 아래의 2가지 입니다.
PausingDispatcher는 처리할 작업들을 가진 CoroutineDispatcher입니다. dispatch
함수로 dispatchQueue에 전달하여 내부적으로 실행 혹은 작업 리스트에 등록합니다. DispatchQueue#canRun()
을 통해서 작업 가능 여부를 판단합니다.
internal class PausingDispatcher : CoroutineDispatcher() {
@JvmField
internal val dispatchQueue = DispatchQueue()
override fun isDispatchNeeded(context: CoroutineContext): Boolean {
if (Dispatchers.Main.immediate.isDispatchNeeded(context)) {
return true
}
return !dispatchQueue.canRun()
}
override fun dispatch(context: CoroutineContext, block: Runnable) {
dispatchQueue.dispatchAndEnqueue(context, block)
}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PausingDispatcher.kt
DispatchQueue 클래스는 실제 Queu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가 아니라 내부에서 dispatchAndEnqueue()
를 통해서 작업할 동작을 등록합니다. 여기에서는 주요 로직들만 살펴보겠습니다.
internal class DispatchQueue {
private var paused: Boolean = true
private var finished: Boolean = false
...
private val queue: Queue<Runnable> = ArrayDeque<Runnable>()
// 동작 제어를 pause/resume/finish 함수로 중지와 완료 플래그를 on/off 설정.
@MainThread
fun pause() {
paused = true
}
@MainThread
fun resume() {
...
paused = false
drainQueue()
}
@MainThread
fun finish() {
finished = true
drainQueue()
}
...
// 실행 가능 여부를 canRun() 함수로 확인하며,
// 완료, 정지 flag를 사용해 실행 여부를 체크
@MainThread
fun canRun() = finished || !paused
// PausingDispatcher#dispatch를 통해서 호출되는 dispatchAndEnqueue는
// 실행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블록을 실행하거나 큐에 추가.
@AnyThread
@SuppressLint("WrongThread")
fun dispatchAndEnqueue(context: CoroutineContext, runnable: Runnable) {
with(Dispatchers.Main.immediate) {
if (isDispatchNeeded(context) || canRun()) {
dispatch(context, Runnable { enqueue(runnable) })
} else {
enqueue(runnable)
}
}
}
...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DispatchQueue.kt
서두에 whenStateAtLeast의 특징으로 지정한 범위 내의 생명 주기에서만 유효
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때 생명 주기에 따라 처리하는 클래스가 바로 LifecycleController입니다.
@MainThread
internal class LifecycleController(
private val lifecycle: Lifecycle,
private val minState: Lifecycle.State,
private val dispatchQueue: DispatchQueue,
parentJob: Job
) {
private val observer = LifecycleEventObserver { source, _ ->
if (source.lifecycle.currentState == Lifecycle.State.DESTROYED) {
// 현재 생명 주기가 DESTROYED인 경우 종료 처리를 진행.
handleDestroy(parentJob)
} else if (source.lifecycle.currentState < minState) {
// 현재 생명 주기가 지정한 생명 주기(minState)보다 작은 경우 일시 정지.
dispatchQueue.pause()
} else {
// 현재 생명 주기가 지정한 생명 주기(minState)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일시 정지.
dispatchQueue.resume()
}
}
init {
// LifecycleController 시작 시 현재 생명 주기가 DESTROYED인 경우 종료 처리를 진행.
// 그 외에는 Lifecycle에 LifecycleEventObserver를 등록
if (lifecycle.currentState == Lifecycle.State.DESTROYED) {
handleDestroy(parentJob)
} else {
lifecycle.addObserver(observer)
}
}
// 부모 Job을 취소한 후,
// Lifecycle에 등록된 Observer 제거와 DispatchQueue#finish 호출
@Suppress("NOTHING_TO_INLINE")
private inline fun handleDestroy(parentJob: Job) {
parentJob.cancel()
finish()
}
@MainThread
fun finish() {
lifecycle.removeObserver(observer)
dispatchQueue.finish()
}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LifecycleController.kt
DispatchQueue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고 싶은 분은 다음 링크를 확인해보세요.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DispatchQueue.kt
LifecycleController
의 코드를 살펴봤을 때 주된 처리가 이 클래스를 통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시작 전 1부에서 살펴본 withStateAtLeast KTX의 설명을 다시 한번 보겠습니다.
이 내용을 기억하며 내부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public suspend inline fun <R> Lifecycle.withStateAtLeast(
state: Lifecycle.State,
crossinline block: () -> R
): R {
require(state >= Lifecycle.State.CREATED) {
"target state must be CREATED or greater, found $state"
}
return withStateAtLeastUnchecked(state, block)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WithLifecycleState.kt
withStateAtLeast이 whenStateAtLeast와 일시 중단
지원 여부가 큰 차이점입니다. 파라미터 중 block 이란 이름으로 정의된 syntax를 보면 일반적인 function입니다. 기본 API에서 suspend
가 없으므로 일시 중단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withStateAtLeast의 내부에서 다시 withStateAtLeastUnchecked 함수를 호출하고 있습니다.
@PublishedApi
internal suspend inline fun <R> Lifecycle.withStateAtLeastUnchecked(
state: Lifecycle.State,
crossinline block: () -> R
): R {
val lifecycleDispatcher = Dispatchers.Main.immediate
val dispatchNeeded = lifecycleDispatcher.isDispatchNeeded(coroutineContext)
if (!dispatchNeeded) {
// 생명 주기 Dispatcher가 디스패치가 불필요한 경우
// 현재 생명 주기가 DESTROYED인 경우, LifecycleDestroyedException를 발생.
// 현재 생명 주기가 지정한 생명 주기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파라미터로 전달받은 블록을 실행.
if (currentState == Lifecycle.State.DESTROYED) throw LifecycleDestroyedException()
if (currentState >= state) return block()
}
// 생명 주기 Dispatcher가 디스패치가 필요한 경우
// suspendWithStateAtLeastUnchecked 함수 호출
return suspendWithStateAtLeastUnchecked(state, dispatchNeeded, lifecycleDispatcher) {
block()
}
}
// LifecycleDestroyedException는 CancellationException의 하위 클래스.
// CoroutineExceptionHandler를 정의했다면 해당 Exception을 전달받을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LifecycleDestroyedException : CancellationException()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WithLifecycleState.kt
이어서 볼 내용은 생명 주기 Dispatcher가 디스패치가 필요한 경우 호출하는 함수입니다.
@PublishedApi
internal suspend fun <R> Lifecycle.suspendWithStateAtLeastUnchecked(
state: Lifecycle.State,
dispatchNeeded: Boolean,
lifecycleDispatcher: CoroutineDispatcher,
block: () -> R
): R = suspendCancellableCoroutine { co ->
val observer = object : LifecycleEventObserver {
override fun onStateChanged(source: LifecycleOwner, event: Lifecycle.Event) {
if (event == Lifecycle.Event.upTo(state)) {
// 현재 생명 주기가 지정한 생명 주기보다 크거나 같다면
// Lifecycle에 등록된 Observer 제거한 후 블록을 실행
removeObserver(this)
co.resumeWith(runCatching(block))
} else if (event == Lifecycle.Event.ON_DESTROY) {
// 현재 생명 주기가 DESTROYED인 경우
// Lifecycle에 등록된 Observer 제거한 후 LifecycleDestroyedException를 발생
removeObserver(this)
co.resumeWithException(LifecycleDestroyedException())
}
}
}
// Lifecycle 이벤트를 구독
if (dispatchNeeded) {
lifecycleDispatcher.dispatch(
EmptyCoroutineContext,
Runnable { addObserver(observer) }
)
} else addObserver(observer)
co.invokeOnCancellation {
// CancellableContinuation(=co)이 취소된 경우, Lifecycle 이벤트 구독을 해지
if (lifecycleDispatcher.isDispatchNeeded(EmptyCoroutineContext)) {
lifecycleDispatcher.dispatch(
EmptyCoroutineContext,
Runnable { removeObserver(observer) }
)
} else removeObserver(observer)
}
}
출처 : https://cs.android.com/androidx/platform/frameworks/support/+/androidx-master-dev:lifecycle/lifecycle-runtime-ktx/src/main/java/androidx/lifecycle/WithLifecycleState.kt
지금까지 whenStateAtLeast와 withStateAtLeast 기능이 어떻게 구현했는지를 살펴봤습니다. 내부 구현을 좀 더 확인해보고자 작성한 2부 글이지만, 많은 개발자는 1부에서 언급한 사용 방법과 동작에 대한 내용이 보다 더 유용할 것 같습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
Subscribe to this blog via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