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팅은 こわくない! Fragment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이 문서는 Android 2 Advent Calendar 2016 6일째 기사입니다.
Fragment 두렵나요? 무섭지요.
흥미 혹은 필요에하게되어 Fragment를 사용하여 고생한적이있는 Android 엔지니어가 대부분일거라고 생각합니다.
모두의 트라우마 Fragment.
너무 까다로워 Square는 Fragment와 결별을 선언하고 있고, 실제로 Fragment를 버리기위한 라이브러리도 만들어 쓰기도합니다.
모두 Fragment에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히고 있네요.
그러나 Fragment가 유용한 경우나 Fragment의 사용이 적극 권장되는 일도 있지요.
애초에 CustomeView만으로 모든 것을 하는것도 힘들거나…
제반사정으로 Fragment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제대로 Fragment와 함께하는 방법을 SupportFragment의 구현을 보면서 생각해 봅시다.
구현을 알면 함정도 함정이 아니게됩니다!
Fragment 쓰기시작할때 잘 빠지는 함정입니다.
// Activity or 부모 Fragment 쪽
HogeFragment f = new HogeFragment();
f.hoge = "hoge";
// commit
// HogeFragment의 구현
public void onSomeCallback() {
String s = this.hoge; // -> Fragment의 재생성이 한번이라도 발생하면 null
textView.setText(s);
}
표준 Fragment는 화면 회전시 인스턴스가 재생성됩니다. (Do not keep Activities.이 OFF라도!)
Fragment에 어떤 매개 변수를 전달할 때에는 setArguments를 사용합시다.
Bundle arg = new Bundle();
arg.putString("ARG1", "hoge");
arg.putString("ARG2", "fuga");
HogeFragment f = new HogeFragment();
f.setArguments(arg);
// 이러한 작업은 HogeFragment 클래스쪽에 두는것이 괜찮은 구현방법이므로
// HogeFragment f = HogeFragment.newInstance("hoge", "fuga");
// 라는 함수 newInstance를 두는편이 좋네요.
는 자주 듣습니다만…
전달 된 Bundle은 어디로 가는것일까요.
Fragment 구현을 조금 들여다 봅시다.
SupportLibrary의 Fragment 파일을 보면 setArguments()의 구현은 이렇게 되어 있습니다.
// android/support/v4/app/Fragment.java
public void setArguments(Bundle args) {
if (mIndex >= 0)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Fragment already active");
}
mArguments = args;
}
mArguments
에 Bundle을 대입하기만 할뿐입니다. 반대로 getArguments
는 mArguments
의 내용을 반환 할 뿐.
라이프 사이클의 사정으로 인스턴스가 사라져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Parcelable에 값을 저장해야한다는 것.
실제 저장은 같은 파일 내의 FragmentState
에서 이루어지고있는 것 같습니다.
FragmentState
는 Percelable을 계승하고 CREATOR 클래스를 안고있는 등 전형적인 Percelable로 되어 있습니다.
savedInstanceState
으로 개발자가 다룰 수 있는 Bundle 외에 Fragment 레이아웃 파일에서 inflate 된 것인지 여부, inflate 대상 ViewGroup의 id 등 Fragment 메타 상태를 취급하는것이 이 클래스의 역할입니다.
그 중 하나로 Arguments의 유지도 하고 있습니다.。
writeToParcel()에서 Parcel에 쓰고, Parcel에서 복원시 로드, 더욱이 Fragment 복원시에 Fragment에 bundle을 재작성합니다.
// android/support/v4/app/Fragment.java
final class FragmentState implements Parcelable {
...
final Bundle mArguments;
...
public FragmentState(Parcel in) {
...
// Parcel에서 arguments를 복원
mArguments = in.readBundle();
...
}
// Fragment를 재생성
public Fragment instantiate(FragmentHostCallback host, Fragment parent,
FragmentManagerNonConfig childNonConfig) {
if (mInstance == null) {
final Context context = host.getContext();
if (mArguments != null) {
mArguments.setClassLoader(context.getClassLoader());
}
mInstance = Fragment.instantiate(context, mClassName, mArguments);
...
return mInstance;
}
public void writeToParcel(Parcel dest, int flags) {
...
// Parcel에 저장
dest.writeBundle(mArguments);
...
}
이렇게하여 setArguments에서 전달된 값은 저장되어있었습니다.
이로서 Fragment가 파기되어도 Arguments가 유지되는 구조가 알게되었습니다. Arguments를 Bundle에서 취급하는 이유도 왠지 알 것입니다.
이제 다음부터는 잊지않고 setArguments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요! !
Fragment에서도 startActivityForResult()
를 사용할 수 있으며 Activity 결과를 Fragment의 onActivityResult()
에서 처리 할 수 있습니다.
그 때 requestCode
를 지정합니다.
여기에 적당히 선택한 값을 사용하면 IlligalStateException가 발생 할 수 있습니다.
// MyFragment.java
startActivityForResult(new Intent(getContext(), NextActivity.class), 65536);
// ->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Can only use lower 16 bits for requestCode
16비트 이하의 값을 사용하라고합니다. 이것도 잘 알려져 있지요.
그러나 Java의 int는 32비트 정수일텐데… 왜 16비트인가 …
startActivityForResult
를 발행직전에 트릭이 있다Fragment의 startActivityForResult
에서 코드를 따라가다보면 이런 코드와 마주칩니다.
// android/support/v4/app/FragmentActivity.java
public void startActivityFromFragment(Fragment fragment, Intent intent,
int requestCode, @Nullable Bundle options) {
// Fragment에서의 startActivityForResult인지 판단 플래그
mStartedActivityFromFragment = true;
try {
if (requestCode == -1) {
ActivityCompat.startActivityForResult(this, intent, -1, options);
return;
}
// checkForValidRequestCode가 16비트 이하인지 검사하고 예외를 던진다
checkForValidRequestCode(requestCode);
// Activity가 안고있는 Fragment 중
// 어떤 Fragment가 startActivityForResult를 호출했는지를 기록하고있다
// 테이블이 있고 거기에 Fragment(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이름)을 추가하고 있다
int requestIndex = allocateRequestIndex(fragment);
// 상위 16비트에 테이블의 indext를 채우고
// 하위 16비트에 원래의 requestCode를 채워 Activity를 호출
ActivityCompat.startActivityForResult(
this, intent, ((requestIndex + 1) << 16) + (requestCode & 0xffff), options);
} finally {
// 호출이 끝나면 플래그를 닫는다
mStartedActivityFromFragment = false;
}
}
32비트 중 상위 16비트씩 다른 용도로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16비트에 맞춰라고 말하는 것이군요.
덧붙여서 FragmentActivity에서 startActivityForResult()
를 호출할 때에도 requestCode가 16비트 이하인지 체크됩니다.
// android/support/v4/app/FragmentActivity.java
public void startActivityForResult(Intent intent, int requestCode) {
// Fragment에서의 호출인 경우는 이미 16비트 이하 여부를 체크했습니다.
// 상위 16비트가 0x0000인 경우에는 Activity에서 호출이라고 판단하기 위해
// Activity에서 requestCode도 16비트 이하인 것을 확인한다.
if (!mStartedActivityFromFragment) {
if (requestCode != -1) {
checkForValidRequestCode(requestCode);
}
}
super.startActivityForResult(intent, requestCode);
}
startActivityForResult()
할 떄 Fragment 말고도 16비트 이하의 requestCode로 하는것이 좋을 것 같네요.
경우에 따라서는 Activity에서 Fragment에 뭔가 작업ㅇ르 의뢰하고 싶을 때가 있지요.
getSupportFragmentManager().
beginTransaction().
add(R.id.placeholder, HogeFragment.newInstance()).
commit();
HogeFragment h = (HogeFragment) getSupportFragmentManager().
findFragmentById(R.id.placeholder);
h.doHoge(); // -> NullPointerException
Fragment는 행방불명인 것 같습니다. :innocent:
그렇다면 이것은 어때?
// Fragment 인스턴스를 유지한다
HogeFragment h = HogeFragment.newInstance();
getSupportFragmentManager().
beginTransaction().
add(R.id.placeholder, h).
commit();
h.doHoge(); // -> 안에서 getString() 등 context를 사용하는 조작이 있으면 IllegalStateException
이렇게 commit()
는 비동기로 실행되는 것입니다.
Activity에 attach 되는 것은 잠시 후!
그러니 context를 사용할 수있는 것도 잠시 후!
이것도 잘 알려진 함정.
executePendingTransactions()
를 사용하면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xecutePendingTransactions()
를 호출할 정도로 서두르지 않기 때문에 Fragment가 attach 된 후에 하고 싶은 처리가 있다…
Activity에 뭔가 interface를 구현하여 Fragment#onAttach()
쪽에 Activity를 호출하면 좋을지도 모르지만, 거기까지 귀찮은 것은 원치 않아 …
(업무라면 귀찮아하지말고 구현하자)
FragmentTransaction#commit()
에서 처리를 따라 가다 보면, FragmentManager#enqueueAction()에 도착합니다.
// android/support/v4/app/FragmentManager.java
// action은 BackStackRecord(Runnable를 구현하고있다)가 들어간다.
public void enqueueAction(Runnable action, boolean allowStateLoss) {
...
// mPendingActions는 action을 보관할 List
mPendingActions.add(action);
// 대기중인 것이 지금 추가 한 action 밖에 없으면,
// Activity와 같은 스레드 Looper에 메시지를 던지는 Handler에 post
if (mPendingActions.size() == 1) {
mHost.getHandler().removeCallbacks(mExecCommit);
mHost.getHandler().post(mExecCommit);
}
}
}
mExecCommit는 FragmentManager#execPendingActions()
를 호출할 뿐이므로 execPendingActions()을 살펴보자.
// android/support/v4/app/FragmentManager.java
public boolean execPendingActions() {
...
while (true) {
int numActions;
synchronized (this) {
...
// mPendingActions에서 mTmpActions에 Runnable를 옮겨.
// 아마도 synchronized 되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numActions = mPendingActions.size();
if (mTmpActions == null || mTmpActions.length < numActions) {
mTmpActions = new Runnable[numActions];
}
mPendingActions.toArray(mTmpActions);
mPendingActions.clear();
mHost.getHandler().removeCallbacks(mExecCommit);
}
// 모여있던 commit 처리를 실행
mExecutingActions = true;
for (int i=0; i<numActions; i++) {
mTmpActions[i].run();
mTmpActions[i] = null;
}
mExecutingActions = false;
didSomething = true;
}
// Fragment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doPendingDeferredStart();
return didSomething;
}
비동기 처리라고하면 Looper와 Handler네요. Fragment의 commit은 무거운 처리같기 때문에 비동기로 메인 스레드에서 처리 할 수있는 타이밍이 되었을 때 처리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FragmentTransaction#commit()
의 직후 메인 쓰레드의 Handler에 post하면 Fragment가 attach 된 직후 처리가 실행될 것 …!
(메인 스레드 이외에서 FragmentManager를 만져해야한다면)
getSupportFragmentManager().
beginTransaction().
add(R.id.placeholder, HogeFragment.newInstance()).
commit();
new Handler(Looper.getMainLooper()).post(new Runnable() {
@Override
public void run() {
HogeFragment h = (HogeFragment) getSupportFragmentManager().
findFragmentById(R.id.placeholder);
h.doHoge(); // h는 non-null!!
}
});
이런 것도 됩니다 :hugging:
frameworks와 SupportLibrary의 코드를 읽으면 다양한 것을 알게되어 즐거워요! !
Java에서의 능숙한 작성 및 설계 방법, 다른 버전에 대한 대응 방법을 배울 수 있으며, 가끔 나쁜 예제로하자고 생각하는 부분도 발견 할 수 있습니다. 평소 Android 개발을하고있는 분이라면 Andorid의 동작을 알고 있기 때문에, 동작을 이미지하면서 코드를 읽을 수있을 것입니다.
나도 이 부근의 코드를 읽게 된 것은 최근 일이므로, 알았던 것이 있으면 수시로 전파하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Support Library의 소스 코드는 Apache License 2.0 라이센스 되어있습니다.
이 문서에서는 일부 코드를 발췌・수정해 게재하고 있습니다.
comments powered by Disqus
Subscribe to this blog via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