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부 두 번째 글에서는 LazyList에서 호출하는 rememberLazyListMeasurePolicy 함수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최신 Android Studio Meerkat RC 1과 Ladybug Feature Drop IDE에서 Build 메뉴
선택에 따라 변경되는 동작을 확인해 보려고 한다.
2부에서는 1부 LazyColumn/LazyRow에서 호출되는 내부 Composable인 LazyList와 관련된 정보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앞으로 살펴볼 Composable 함수의 대부분은 internal 혹은 private으로 실제 개발자가 직접 만져볼 코드는 아닙니다.
Android 개발에서 Jetpack Compose 채택이 늘어감에 따라 주요 컴포넌트 중 하나인 LazyColumn/LazyRow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앞으로 나오는 코드는 public 및 내부 코드를 기반으로 파악한 부분입니다.
최근 Library 모듈에서 Instrumentation Test시에 경험한 기록을 남겨봅니다. 해당 작업은 오랜만에 0부터 작업해서 변경된 부분을 놓쳐서 간단하게 남겨둡니다.
Compose를 부분 적용하는 케이스 중 하나는 BottomSheetDialogFragment에서 View만 Compose로 바꾸는 케이스이다.
AndroidX Compose foundation 1.2.0-alpha03부터 Lazy List/Grid에서 key 대신 Content type이 추가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동일한 Key를 사용시 크래시가 발생하는 내부 코드 통해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Compose에서 Composable 함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그중 대표적인 LocalContext
를 사용해 Context를 얻어오는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본 글은 Coil 요청을 가로채서 다른 결과로 반환할 수 있다는 것을 다루는 글입니다.
올해로 4번째로 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코로나로 몇 년간 참석이 어려웠던 시절이 있었지만, 2017년부터 꾸준히 오프라인으로 참석하는 행사 중 하나이다.
최근 Glide와 함께 애니메이션 처리에 Coroutines Suspend를 적용해 본 사례를 소개합니다.
본 글은 Retrofit에서 Custom CallAdapter.Factory를 다루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EditText 입력 시 포커스와 키보드 표시를 더 자연스럽게 다루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Activity 결과 처리를 위해 새로운 Activity Result API 사용 시 주의할 점을 소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Glide로 로드되는 이미지가 디스크에 캐싱될 때 이름을 결정하는 기준을 소개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Glide 사용 시에 Cache Key를 커스텀해서 캐싱을 유도하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TextView에 스타일 적용은 많이 사용되는 패턴입니다.
이미지 출처 : https://unsplash.com/ko/%EC%82%AC%EC%A7%84/eKfEO0qM1aU
AGP 8.0.0-alpha09에는 새로운 설정 플러그인이 도입된다는 내용이 Flamingo 릴리즈 노트에 추가되었습니다.
Android를 개발해 본 사람이라면 Fragment 다루는 것은 복잡하다는 것은 흔한 이야기입니다.
지난, TouchDelegate를 활용하여 실제 영역보다 더 큰 영역으로 확장하며 터치 이벤트를 처리하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Glide를 사용하는 경우 가로/세로의 비율(=종횡비)이 큰 경우 이미지가 뿌옇게 나오는 현상이 있습니다.
부스트캠프에서 발표한 Modern Android Developer
발표자료입니다
Whats new in Android development tools
발표 자료입니다.
본 글에서는 새롭게 도입된 InitializerViewModelFactory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새롭게 도입된 ViewModel CreationExtras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RxJava의 subscribe에서 전달된 값 테스트를 소개합니다.
본 글은 AndroidX Jetpack Navigation x Compose 사용 시 데이터 전달에 대해 살펴보는 글입니다.
본 글은 AndroidX Jetpack Navigation x Compose 사용 시 데이터 전달에 대해 살펴보는 글입니다.
본 글은 AndroidX Jetpack Paging 사용 시 Paging 한 데이터의 흐름과 최종 존재하는 위치를 살펴보는 글입니다.
본 글은 AndroidX Lifecycle에 존재하는 ViewTreeLifecycleOwner API를 RecyclerView에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하는 글입니다.
본 글은 Glide 요청을 가로채서 다른 결과로 반환할 수 있다는 것을 다루는 글입니다.
본 글은 Jetpack AndroidX Core/Activity에 추가된 MenuHost를 다루는 글입니다.
ViewBinding과 DataBinding은 Android 앱 개발 시에 View를 접근 시에 사용하는 findViewById
상용 문구 제거와 데이터를 View에 바인딩 할 수 있는 Support 라이브러리입니다.
Android Jetpack 라이브러리인 AndroidX는 다양한 카테고리의 내용들을 대응하고 있습니다. 그중 생명주기와 관련있는 AndroidX가 바로 Lifecycle입니다. 그리고, 최근 AndroidX Lifecycle 2.4.0-alpha01 버전이 새롭게 출시되었습니다.
New ActivityResult and FragmentResult
발표 자료입니다.
참고 자료
우리들은 Android Platform SDK와 AndroidX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앱을 만듭니다. 그러나 구글에서 제공하는 것만으로 작성하기엔 우리의 시간은 짧습니다. 그래서 특정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혜택을 얻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네트워크 통신 라이브러리(OkHttp/Retrofit)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속도를 올린다거나 스스로 구현했으면 놓칠 수 있는 부분까지의 안정성을 보장받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의 결과물은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설치됩니다. 현재 약 25억 개의 활성화된 디바이스를 비롯하여 스마트폰/태블릿/Wear/Auto/TV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OS입니다. 다양하게 쓰일 수 있다는 점이야말로 안드로이드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다만 다른 시각으로 봤을 때는 우리 손을 떠나면 어떤 디바이스에 설치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실제로 한국만 벗어나더라도 처음 들어보는 제조사나 디바이스 등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양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특성을 가지는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의도대로 실행되는데 중요한 호환성 유지
에 대해서 다룹니다.
개인으로 AndroidX Navigation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한 정리한 부분입니다.
본 글은 AndroidX AppComapt 1.2.0-beta01부터 추가된 TextViewCompoundDrawablesXmlDetector Lint를 다루며 해당 Lint를 사용해도 안전할지 AndroidX 내부를 살펴본 글입니다.
지난 Lifecycle-ktx 1부에서는 whenStateAtLeast와 withStateAtLeast의 개념과 동작 방식을 살펴봤습니다. 2부에서는 각 기능의 내부 구현 코드를 살펴보겠습니다.
최근 안드로이드 개발 시에 Kotlin Coroutine
도입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곳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AndroidX에도 Coroutine 사용을 돕고자 여러 가지 기능이 추가된 것을 아실 겁니다. 그중에서도 Activity/Fragment에서 사용되는 lifecycleScope
와 ViewModel을 위한 viewModelScope
가 흔하게 사용되는 기능일 것입니다.
본 글은 안드로이드 개발을 시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작성해본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한 글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Jetpack AndroidX Lifecycle에 추가된 ViewTreeLifecycleOwner
, ViewTreeViewModelStoreOwner
를 다루는 글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오늘은 Kotlin 1.4.20에 반영된 Kotlin Android extensions의 변경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개인적으로 Jetpack AndroidX Compose의 스터디한 내용을 정리하는 아카이브용입니다.
본 글은 Jetpack AndroidX Activity에 추가된 ContextAware
을 다루는 글입니다.
여러분들이 만드신 앱이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싶은 내용과 가치를 위해서 다양한 UI, UX, 색상을 사용합니다. 또한 다양한 정보 또한 중요한 앱의 품질 중 하나입니다. 수많은 정보를 간결하게 나타내는 것 또한 중요한 항목입니다. 그렇지 않는다면 리소스가 낭비된다는 것은 우리 모두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서비스에 담당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서버 비용 등, 사용자 모두가 다양한 형태로 짊어지게 됩니다.
지난 레이아웃 글에 이어서 본 글에서는 GPU로 그리는 수준을 1단계 줄이는 방법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Android 개발 시 새로운 디바이스와 새로운 OS는 개발자에게 있어서 다양한 시도를 도와주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다양한 자원들의 상한선/하한선 등 사용 가능한 경계선의 범위가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그러기에 Android 앱 개발시에 자원을 남용하기 쉽습니다.
본 글에서는 레이아웃 깊이를 1단계 줄이는 방법 중 하나를 소개합니다.
CustomView 작업 시 XML 상에서 다양한 값을 View에 전달하기 위해서 declare-styleable
를 많이 사용합니다.
본 글에서는 맞춤 속성 정의시에 발생할 수 있는 실수와 이론에 대해서 언급합니다
프론트엔드/모바일 앱에서 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디자인의 차이로 서비스의 아이덴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서비스의 품질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를 서비스에 Lock-In 할 수 있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서비스에서 제품에서 사용되는 컴포넌트마다 동일한 디자인 스타일을 적용하는 것은 당연한 이야기입니다.
Android 11 Beta Launch 이벤트 세션 Jetpack Compose의 Preview
/ Interactive
기능의 테스트입니다.
Android 11 Beta Launch 이벤트 세션 중 Screens - large, small and foldable에서 소개된 Freeform Window Mode에 대한 테스트입니다.
Hilt 자료 링크 정리
지금까지 Android의 기본적인 상태 저장에서부터 SavedStateHandle를 사용한 상태 저장에 대해서 몇 가지의 글을 작성했습니다. 그리고, SavedStateHandle를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AndroidX 내부의 움직임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iewModel 객체가 생성되는 순간에서 제거되는 순간을 확인해보려고 합니다.
본 글에서는 Fragment 1.3.0-alpha04 에서 추가된 Fragment Result을 다룹니다.
최근 androidx의 업데이트로 activity/fragment의 변화는 조금씩 다가오고 있습니다. 그중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Activity Result 관련 API 들의 사용입니다.
Glide#into 에 전달하는 Target, 잘못 전달하고 있지 않나요?
Android 개발 시에 손쉽게 이미지 로딩으로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로 몇 가지가 있습니다. Glide, Picasso, Fresco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사용되고 있으며, Kotlin Corutine을 이용한 이미지 로딩 라이브러리로 Coil도 최근 발표도 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다양한 라이브러리 중 Glide의 기능 중 하나를 살펴볼 예정입니다.
2020년 4월 1일, AndroidX Activity-1.2.0-alpha03 / Fragment-1.3.0-alpha03 버전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ActivityResult가 등장 후 두 번째 업데이트입니다.
첫 번째 등장에 관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고하세요. New ActivityResultRegistry
최근 AndroidX Activity-1.2.0-alpha02 / Fragment-1.3.0-alpha02으로 새롭게 업데이트되면서 Activity/Fragment에 동일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
본 글에서는 상태 저장을 위해서 사용되는 SavedStateHandle 객체가 AndroidX에서 어떻게 저장과 복원이 이루어지는지 그림과 함께 살펴볼 것입니다.
ComponentActivity와 Fragment의 흐름을 확인하기 위해서 AndroidX Activity:1.1.0 / Fragment:1.2.0 / android/platform/frameworks/supports androidx-master-dev 소스를 통해서 파악한 정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ViewModel 에서 UI 상태 저장의 꽃(?)이라고 생각되는 SavedStateHandle을 다뤄보겠습니다. 1부 : Android 상태 저장의 기본에서 Savedstate까지 에서도 가볍게 언급했던 부분을 AndroidX 내부에서 어떤 움직임으로 다뤄지는 살펴볼 예정입니다.
본 글은 SavedState ViewModel 관련 Android 상태 저장의 기본에서 Savedstate까지 의 2번째 글입니다.
최근 AndroidX ViewModel-Savedstate이 2.2.0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 Android에서 상태 저장을 좀 더 쉽게 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라이브러리들이 존재하지만, 본 글에서는 Android에서의 상태 저장과 SavedStateViewModel에 포커스를 두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9 ~ マルチモジュールプロジェクトでの Dagger2を用いた Dependency Injection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미지는 이해를 돕고자 한국어로 수정했습니다.
Android 개발에서 어려운 것 중 하나가 바로 Lifecycl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Fragment의 Lifecycle에 대해서 다룹니다. 그리고, Fragment에서 올바르게 LiveData를 사용법과 Fragment 1.2.0
의 변경에 관해서 이야기하는 것이 이 글의 목표입니다.
최근 ViewBinding의 스펙의 조금 바뀌었습니다.
본 포스팅은 Unicode 絵文字にまつわるあれこれ (絵文字の標準とプログラム上でのハンドリング) 을 번역한 글입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9 ~ Understanding Kotlin Coroutines: コルーチンで進化するアプリケーション開発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미지는 이해를 돕고자 한국어로 수정했습니다.
Android Emulator 29.2.2 Canary 버전부터 구글 지도를 이용하여 위치와 경로를 처리 더 쉽게 할 수 있다.
Android Studio 에 숨어있는 꿀팁 등 다양한 기능을 공유하는 포스팅입니다.
Android Studio 에 숨어있는 꿀팁 등 다양한 기능을 공유하는 포스팅입니다.
Android Studio/ Tips and Tricks 세션의 내용이 많아서 3개의 파트로 나누어서 공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Build&Deploy를 소개합니다.
Android Studio/ Tips and Tricks 세션의 내용이 많아서 3개의 파트로 나누어서 공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Navigation Editor, Resource Manager를 소개합니다.
Android Studio/ Tips and Tricks 세션의 내용이 많아서 3개의 파트로 나누어서 공개합니다.
본 글에서는 Android Studio의 Profiler와 기본 IDE의 내용을 소개합니다.
2019년 6월 15일
I/O ‘19 Extended in Korea Android 에서 발표한 What's New in Android
자료입니다.
먼저, Android Studio 자체를 빌드해본 것은 처음이라서, 일부 올바르지 않은 내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9 ~ DroidKaigi 2019 で「LiveData と Coroutines で 実装する DDD の戦術的設計」について話してきました。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미지는 이해를 돕고자 한국어로 수정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Android アプリの開発でドメイン駆動設計に取り組む話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미지는 이해를 돕고자 한국어로 수정했습니다.
2019년 4월초 AndroidX의 많은 부분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 Activity#1.0.0-alpha06
의 변경 중에서 OnBackPressedCallback
의 변경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019년 4월 5일
“DroidKnights 2019”에서 발표한 MotionLayout 무릎까지 담궈보기
자료입니다.
DroidKaigi 2019에서 들은 세션 리스트 정리이다.
올해로 3번째로 다녀온 DroidKaigi 2019년 행사 후기이다.
본 포스팅은 AndroidXでのバックキー制御 을 번역한 글입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Yanolja + MotionLayout #Part1 ~ MotionLayout 에서는 MotionLayout에 대한 간단한 이야기와 기본적인 적용에 관해 설명했습니다. Part2에서는 야놀자 서비스에 도입된 CollapsibleToolbar
내용을 더 설명하겠습니다. 실제로 Part2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많은 트러블 슈팅을 했습니다.
좀 더 MotionLayout을 다뤄보겠습니다.
2019월 1월 15일 야놀자 7.0.0 버전이 출시되었습니다. 해외 숙박과 홈 개편을 메인이지만, 사용하시면 다양한 부분의 개선이 되었다는 것을 느끼셨을 겁니다. 이번 업데이트 중 리스트의 상단 헤더 부분에 적용된 MotionLayout
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공유 가능한 부분만 소개해보려 합니다.
2019년 1월 10일
“기술 문서 번역 모임: 번역 도구 이야기”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어느덧 2018년도 이틀밖에 남지 않은 12월 30일, 2018년 회고를 작성합니다.
작성 흐름은 Rinae님의 2018년 회고 목차를 인용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Support LibraryのDownloadable FontsやEmojiCompatに対応したアプリを作ろう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2018년 11월 25일
“우리는 안드로이드 개발자입니다”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なんとなく動いているProGuardから脱出するために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Dagger2を活用してAndroid SDKの依存関係をクリーンにす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詳解 ViewGroupのレイアウト内部実装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Google I/O ‘18 Extended In Daejeon 에서 발표한 ConstraintLayout 자료입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MVVMベストプラクティス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DataBindingのコードを読む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onstraintLayout 1.1.0 가 릴리즈 되었습니다. 미쳐 놓친 변경 로그를 정리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8 ~ Kotlinアンチパター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다녀온 DroidKaigi 2018 행사 후기이다.
2017년이라는 해가 글을 작성하기 시작하는 시점에서 4시간 10분 남았다.
주인장 이야기로 마지막 글이 올해 3월말에 적은 DroidKaigi 글이라서 한해 마무리 및 회고를 겸해서 한해의 정리를 해본다.
총 40개의 포스팅을 했는데, 대부분 번역이다.
2017년은 개발자로서 설계 / Kotlin
에 대해서 많이 공부한 한 해였다.
올해 새롭게 만난 사람도 많았고, 많은 일도 일어난 듯하다. 많은 일의 대부분이 행사…
중간에 한두달 행사관련 번아웃도 있었지만, 작년에 비해서 경험못한 많은걸 느낀 한해였다.
설계에 대한 니즈와 테스트해 볼 수 있는 한 해였는데, 아직 부족하고 해보고 싶은게 여러 가지다.
2018년은 조금 여유롭게 하자…
2018년에도 DroidKaigi / GDG Korea / GDG Korea Android / 이상한모임
에서 또 뭔가 하겠지..
또 많은 사람들과 먹고 마시고 즐기고 싶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コマンドなしでぼくはAndroid開発できない話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位置情報を正確にトラッキングする技術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DataBindingで実現するMVVM Architecture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Build my own debugging tool on overlay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How to implement material design animation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ndroidアプリのストレージ戦略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少し幸せにする技術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ccessibilityServiceを使ってアプリの可能性を広げよう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全てSになる -RxJavaとLWSを持ち込む楽しさ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変更に強いEspressoテストコードを効率良く書こう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ndroidアプリ開発の体力づくり💪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解剖Kotlin ~バイトコードを読み解く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実践アニメーショ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トークアプリで絵文字を実装した話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ndroid定期実行処理入門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Function Introduction of Google Play Services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大規模アプリのリノベーショ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kapt の generateStubs と DI ツールとの関係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インスペクションとAndroid Lint Custome Ruleによる、単一責任実装の実践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リリース自動化と効率のよいリリースフローを求めて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ndroid Security 最前線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일부 이미지는 원작자의 슬라이드의 일부 화면을 캡쳐한 이미지입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minneにおけるテスト〜リリース〜リリース後にやっている事の紹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逆引きマテリアルデザイ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Activityを改善した話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7 ~ How to apply DDD to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 스피치 원고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2017년 3월 9일부터 10일까지 이틀간 열린 DroidKaigi 2017 행사에 참여한 후기를 작성해본다.
본 포스팅은 【!ってなんだ】KotlinとJava、nullとPlatformType【NullableにNotNull】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RxJavaを使ったAndroidにおけるエラーハンドリング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lertDialogのスタイルをカスタマイズ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RxJavaでOperators再入門 その1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FragmentTransactionに新たに追加されたcommitNow()について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What’s Good About Kotlin in Android Development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やさしいDagger2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SNSタイムライン動画の自動再生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細かすぎて伝わらないMaterial Designの実装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Support Library 25.1.0 以降でFragment切替時のライフサイクルが変わっている件と対応方法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OSSから学ぶActivity起動時のカッコいいアニメーション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StackOverFlowの「MVPとMVCの違い」についての回答を読んでみた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Javaで書いてたAndroidエンジニアが初めてKotlinで書いてみた 포스팅을 번역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の通信ライブラリの歴史を振り返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FCM(API)を利用したプッシュ通知用の社内ライブラリを作りました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こわくない! Fragment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RecyclerViewに導入されたItemPrefetchで描画パフォーマンス向上させ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Android 개발 시 문자열 서식 포맷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이 String.foramt
이다.
본 포스팅은 EditTextの色変更箇所まとめ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DroidKaigi 2016을 번역을 끝낸 기념으로 회고문을 작성해봅니다.
얼마전 회사에서 개발하면서 Android Support Library를 24.2.0
으로 올렸을때의 버그에 대해서 이야기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24.2.1
에 고쳐졌다.
본 포스팅은 ChromeとAndroidの過去・現在・未来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5 年続く 「はてなブックマーク」 アプリを継続開発する技術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 CI: 2016 edition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Brillo,ChromeOS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既存のAndroidプロジェクトに Kotlinを導入した話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17ヶ国の多言語対応Tips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Camera 2 APIはじめの一歩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6 パフォーマンスを追求したAndroidアプリを作るには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生まれ変わったUI Automatorを使いこなす / How to Use Brand New UI Automator Perfectly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Android Studio 2.2 Preview 1이 Google I/O 2016에서 발표했습니다.
Android Studio 2.1의 첫 Preview가 2016년 3월 10일에 발표되었고, 정식 버전은 4월 27일에 발표했습니다.
2.0부터는 새로운 버전 출시 주기가 상당히 빨라진 것으로 보입니다.
본 포스팅은 クックパッドにおけるAndroidエンジニアの役割とその変遷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VectorDrawable対応まとめ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ではMVCよりMVPの方がいいかもしれない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実践!Android Studioプラグイン開発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 2016 Androidの省電力を考え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안전한 이불 안에서 발표도 할 수 있고 들을 수 있는 이모콘.
이번 이모콘 2016 S/S에서 스피커로 발표에 대해서 후기를 적어봅니다
본 포스팅은 パーミッションモデルの過渡期への対応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用途に合わせたアニメーションの実装方法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2016 by funnelbit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最速でリリースするためのAndroidアプリデザイ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을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ay1 Keynote in DroidKaigi 2016 과 발표영상 主催者挨拶 + 基調講演: OSSの動向を捉えた実装方針 by CyberAgent wasabeef at DroidKaigi 2016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자료와 연관된 발표 영상은 8분 30분부터 보시면 됩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와 발표 설명
의 부분을 혼합하여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 Dev Tools Knowledge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2016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Lint #DroidKaigi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발표내용에 해당하는 슬라이드와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만 번역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본 포스팅은 droidkaigi-rxjava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코드는 생략하고 슬라이드의 일본어 부분만 번역
했다는 점 양해바랍니다.
블로그의 일부 내용을 수정했습니다.
마크다운
내용 수정GitHub가 어제 GitHub Pages에서 사용하는 Jekyll 3.0으로 업그레이드 안내했습니다.
최근 Glide의 최신버전은 3.6.1
(현재 2016년 1월 19일 기준)입니다.
기존에 개인 프로젝트로 Glide를 이용 중 3.5
부터 Cache 부분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차리고 포스팅 해봅니다.
본 포스팅은 Material Design度が高まるRipple Effect対応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ヒープダンプから、その瞬間の各オブジェクトの持っている状態を調べよう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Annotation Processing(apt)のまとめ+AndroidAnnotations(AA)とAutoValueのサンプルコード書いてみた。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Pluggable Annotation Processing API 使い方メモ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AutoCompleteTextViewでハッシュタグの補完を実装してみ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年末の大掃除、アプリの容量を削減するためのチェックリスト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RxJavaのエラーハンドリング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2015년 11월 20일 Realm 발표 후기와 발표 영상 연결을 적어본 포스팅입니다.
본 포스팅은 Android Studio for Experts (Android Dev Summit 2015) 중 Tor Norbye
씨의 발표 세션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Android Studio 2.0 Preview 가 2015년 11월 24일 새벽에 발표했습니다.
앱 제작시 다양한 테마를 적용해서 StatusBar 를 바꾸는 방법이 있습니다.
최근 안드로이드 웹툰 프로젝트를 GitHub에 완전 공개하면서
RxJava, RxAndroid, Realm 관련 작업을 반영해보기로 했습니다
Rx 자체는 별로 어려운 문제없이 진행했지만, Realm 이 가장 큰 문제였습니다.
안드로이드 마시멜로가 정식 릴리즈가 되었지만,
실제로 관련 대응을 하기위해서 개발관련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이전부터 개인적으로 Qiita 쪽 괜찮은 글을 심심치않게 번역하면서 공유를 했습니다.
이 포스팅은 LeakCanaryの仕組みをある程度理解したいマン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여러 3rd Part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AndroidManifest.xml
에 meta-data
를 추가하라는 항목이 가끔씩 나옵니다.
추가는 쉽지만, 실제 Android Java 파일에서 어떻게 값을 취득하는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을 적겠습니다.
이 포스팅은 新しいパーミッションモデルの対応が少し楽になるスニペット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Android Studio 에서 자주 사용하는 Gradle Task 정리
이 포스팅은 Activityのライフサイクル(ログ)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Android のライブラリプロジェクトを爆速で Maven Central にデプロイす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AndroidStudioのPostfix Completionで爆速コーディング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Android] Fabricを使って開発中のアプリを配布してみ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fabric.ioでbetaテストapk配布の実装(画像まとめ、初心者向け)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Toolbar に 13行で SearchView を実装す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Introduction to Support Library rev.22.1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Androidオープンソースライブラリ徹底活用」에서 소개된 라이브러리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イマドキなイカした Android のオープンソースライブラリ集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RxJavaについて調べた試した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RxAndroidをカジュアルに使ってみると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v2.1.0 추가사항
Theme Color에 따른 색 수정
v2.0.0 추가사항
Material Design
최근 만화/소설 뷰어 관련 개인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HTML Parser Library로 jsoup을 사용후 관련 포스팅을 남깁니다.
Jericho
가 유명하지만, 2012년 10월 말 이후 업데이트가 없어서 …
그래서, HTML Parser쪽 부흥하고 있는 jsoup
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했습니다
안드로이드 개발시 GCM으로 Push 처리를 위하여 테스트용으로 만든것을 공유합니다.
추가적인 자세한 내용들은 GCM 관련 페이지를 하단에 기술하였으므로 참고하시길바랍니다.
이 포스팅은 Butter Knifeの紹介 을 기본으로 번역하여 작성했습니다
제 일본어 실력으로 인하여 오역이나 오타가 발생할수 있습니다.
위키백과 Dependency Injection
StackOverflow What is dependency injection?
Naver 개발자 블로그 hello world에 포스팅된 내용 Android에서 @Inject, @Test
Android에서 사용하는 ImageLoader Library중에서 편리중심이며 많이 사용하고 있는 Picasso와
Google I/O 2014로 인해서 급부상항 Glide에 대해서 가벼운 정보를 작성했습니다.
현재 이 포스트는 기존 네이버 블로그 포스트에 추가적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Android Studio에 카카오 SDK를 Gradle 방식으로 작업시 간단한(?)처리 방법을 작성했습니다.
세션관리 등의 부분은 작성하지 않고, 기본적인 환경설정만 기술했습니다.
네이버 모든것은 음모다 개발자 블로그로부터 일부 내용을 이전할 계획입니다.
단백솔직하고 지극히 주관적으로 적어봅니다.
구글리더 연동 RSS 개발……..현재 Google Reader API 분석완료
다음으로 테이블 정의 예정….
아직 위의 이미지는 임시 기획용 이미지 입니다.
개인용도로 만드는 어플.
v1.1.1 추가사항
추가된 지역 가나다 순으로 정렬
기본지역 설정 확장메뉴에 추가
삭제 메뉴를 확장메뉴로 이동
개인용도로 만드는 어플.
v1.1 추가사항
최근 몇달 동안 일어난 일입니다.
1. 일본에서 완전 귀국
2. 서울 모바일 회사에 취직
3. 여러가지 공부
그래도, 제가 할 수 있는일을 한다는걸 기쁘게 느끼고 있습니다.
기상청에서 XML을 제공하고 있기때문에 지역정보 선택후
예보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어플을 만들었습니다.
문제점 1. 기상청은 공모전 대상자에게만 제공하는 DB가 있다. (현재날씨 정보 / 지역DB)
문제점 2. 구글에서 Geocoder 결과로 나타나는 이름이 기상청에는 관리하는 명칭과 다르거나 없을수 있습니다.
문제점 3. 기지국 기반 위치취득시 제대로 위치가 취득안되는 패턴이 발생.
기상청 동네예보/주간예보 어플을 한번 만들어 볼려고 작성중…
멘션작성 완료 사용자 맨션, 기본맨션, 팔로워맨션 취득 완료
주말 ~ 월요일…연이어…크게 한것도 없이 시간이 흘러갔네요…
무미건조하게 시간이 흘러가는것 같네요. 개발이라도 해야겠습니다
몇일날 더 지나면 일본 동북부 대지진이 있고 난 한달이 되는 날입니다…
이전에 Flip Clock의 이미지가 전부 존재할경우를 올렸는데
이번에는 각각 숫자마다 아래/위 이미지가 존재할 경우 사용가능에 대해서 올렸습니다.
작년에 일본 도쿄로 넘어와서
C# → Android → iPhone을 열심히하고… 지금은 iPhone현장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안드로이드나 아이폰 시계관련 어플을 보다보면 종종 Flip Clock가 나옵니다.
그래서 한번 구현해봤습니다.
회사내에서 어플만드는데,
고객이 flip clock ..을 원하네요…
이리저리 소스도 없기때문에, 찾다가 우연히 이미지 파일을 찾았는데
알고보니…한장한장 넘어가는 순간순간 이미지가 다 있더군요…
ViewFlipper를 써서 만들기는 했지만,
이런걸로 괜찮을지 하네요…ㅁㅠ
월요일에 출근하면 샘플이미지 올려보겠습니다.
private File pdf = null;
private final String PDF_PATH = "/sdcard/download/B.pdf";
private Intent intent;
@Override
protected void onCreate(Bundle savedInstanceState) {
super.onCreate(savedInstanceState);
setContentView(R.layout.pdf);
pdf = new File(PDF_PATH);
if(pdf.exists() && pdf.isFile() && pdf.canRead()){
intent = new Intent(Intent.ACTION_DEFAULT);
intent.setType("application/pdf");
intent.putExtra(Intent.EXTRA_STREAM, Uri.parse(Environment.getExternalStorageDirectory() + PDF_PATH));
startActivity(intent);
}
}
기업에 납품할 프로그램 … +ㅁ+ 아….XML은 어렵구나…
이번에도 노리겠다…
라는 제목을 썻지만…
쉬면서 뒹굴뒹굴 했다..
잡소리로 들리실지도 모르겠지만, 일본생활을 하다보니깐 자연스럽게 블로그에 소홀해졌는데…
오랜만에 블로그에 들어와서 이리저리 댓글단 사람들의 블로그도 확인했는데.. 어떤 분이 자바관련 자료를 다 퍼가셨다… 뭐 거기까지는 괜찮지만…
국비교육 카페의 자료로 이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음… =ㅅ= 그래서 제가 만든 공부 자료에 대해서는 CCL 기능을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업관련 자료들은 블로그로 퍼가는것은 괜찮지만, 영리적 목적으로 카페 교육자료로 사용하는것은 금지합니다.
일본에 있는 한국계 SI업체에 들어와서 인턴으로 연수생활이 무료한 이 시점에서
=ㅅ= 곧 다가올, 벚꽃이 필때…
떠나자!!! 초속 5cm 실제 풍경이 있는곳으로……. 토치키현은 너무 멀고…그래서 가까운 요요기공원, 신주쿠 근처를 활보할 예정
=ㅁ= 이걸 보면서 사진찍고 다녀야지!
이미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을거라고 생각되지만,
최근에 작업하기 시작한 Microsoft Visual Studio 2008 Chart Control에 대해서
그냥 간단한 포스팅을 할까함.
아주 작은 확률로… 실버라이트를 안쓰게되었음…
=ㅁ= 야!!!
ASP.NET을 시작해야한다…
지금까지 만든 내용은 실행할수 있게만 테스트용으로 업로드함…
실버라이트 3가 설치되어있다면 =ㅁ=)b 아마 될꺼임
샘플코드 : 다운로드
SI업체에서 S2Struts 프레임워크를 이용해서 회사전용 홈페이지 개발 및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을 도중 중단 명령을 받고
이제는 C#, ASP.NET, ADO.NET, Silverlight
를 하라는 지시를 받고,
오늘 환경구축을 했는데…
이건 뭐….짜증나는군… VS 2008 서비스팩 1 설치하는 시간이 오래걸려서…
이제 =ㅅ= 힘든 시간이 또 시작 되는구나
일본 인턴으로 확정받은 회사에서 재류자격인정증명서가 도착했다고 연락이왔다
받으면 부산에 있는 일본영사관에가서 신청하면 된다고하네…….
=ㅅ= 아 자바공부해야하네…요즘 C#이랑 VB.NET만 하다보니…
POS 시스템을 사용하지않고,
단순 컴퓨터와 터치스크린 모니터만을 가지고 POS 시스템처럼 구현해보려고 진행중이다.
VB.NET 기반 화상키보드 만들기
RFID 장비 써서..
물류 관리 시스템을 비슷하게 만들어본것……..
로그인으로 시작해서 =ㅅ= 1달동안 코딩코딩……..=ㅅ=)///
ActivrX 버전 녹음기 완성 (90%)
Subscribe to this blog via RSS.
Jetpack Compose: LazyColumn/LazyRow 내부 코드 분석 ~ 2부 LazyList (2) rememberLazyListMeasurePolicy
Posted on 09 Feb 2025Jetpack Compose: LazyColumn/LazyRow 내부 코드 분석 ~ 2부 LazyList (1)
Posted on 25 Jan 2025Jetpack Compose: LazyColumn/LazyRow 내부 코드 분석 ~ 1부 LazyColumn/LazyRow
Posted on 10 Jan 2025